적용이율 | 상품공시실 | 공시실 | MG손해보험
적용이율
※ 보장성보험 공시이율(1701)
- 기준이율 = A1 x α +A2 x (1-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1 x β1 + R2 x β2 +R3 x β3 +R4 x β4
- R1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1 : 국고채 가중치
- R2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2 : 회사채 가중치
- R3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3 : 통안증권 가중치
- R4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4 : CD 가중치
A2 : 「무배당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※ 저축성보험 공시이율(1701)
- 기준이율 = A1 x α +A2 x (1-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1 x β1 + R2 x β2 +R3 x β3 +R4 x β4
- R1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1 : 국고채 가중치
- R2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2 : 회사채 가중치
- R3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3 : 통안증권 가중치
- R4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4 : CD 가중치
A2 : 「무배당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※ 보장성보험 공시이율(1601)
- 기준이율 = A1 x α +A2 x (1-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1 x β1 + R2 x β2 +R3 x β3 +R4 x β4
- R1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1 : 국고채 가중치
- R2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2 : 회사채 가중치
- R3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3 : 통안증권 가중치
- R4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4 : CD 가중치
A2 : 「무배당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30%
※ 저축성보험 공시이율(1601)
- 기준이율 = A1 x α +A2 x (1-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1 x β1 + R2 x β2 +R3 x β3 +R4 x β4
- R1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1 : 국고채 가중치
- R2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2 : 회사채 가중치
- R3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3 : 통안증권 가중치
- R4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4 : CD 가중치
A2 : 「무배당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30%
※ 연금보험 공시이율(1601)
- 기준이율 = A1 x α +A2 x (1-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1 x β1 + R2 x β2 +R3 x β3 +R4 x β4
- R1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1 : 국고채 가중치
- R2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2 : 회사채 가중치
- R3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3 : 통안증권 가중치
- R4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4 : CD 가중치
A2 : 「연금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30%
※ 보장성보험 공시이율(1501)
- 기준이율 = A1 x α +A2 x (1-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1 x β1 + R2 x β2 +R3 x β3 +R4 x β4
- R1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1 : 국고채 가중치
- R2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2 : 회사채 가중치
- R3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3 : 통안증권 가중치
- R4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4 : CD 가중치
A2 : 「무배당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20%
※ 저축성보험 공시이율(1501)
- 기준이율 = A1 x α +A2 x (1-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1 x β1 + R2 x β2 +R3 x β3 +R4 x β4
- R1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1 : 국고채 가중치
- R2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2 : 회사채 가중치
- R3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3 : 통안증권 가중치
- R4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4 : CD 가중치
A2 : 「무배당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20%
※ 연금보험 공시이율(1501)
- 기준이율 = A1 x α +A2 x (1-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1 x β1 + R2 x β2 +R3 x β3 +R4 x β4
- R1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1 : 국고채 가중치
- R2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2 : 회사채 가중치
- R3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3 : 통안증권 가중치
- R4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4 : CD 가중치
A2 : 「연금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20%
※ 보장성보험 공시이율(1304)
- 기준이율 = A1×α + A2×(1- 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₁×β₁ + R₂×β₂ + R₃×β₃ + R₄×β₄
- R₁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₁ : 국고채 가중치
- R₂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₂ : 회사채 가중치
- R₃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₃ : 통안증권 가중치
- R₄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₄ : CD 가중치
A2 : 「무배당」특별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,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10%
※ 저축성보험 공시이율(1304)
- 기준이율 = A1×α + A2×(1- 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₁×β₁ + R₂×β₂ + R₃×β₃ + R₄×β₄
- R₁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₁ : 국고채 가중치
- R₂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₂ : 회사채 가중치
- R₃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₃ : 통안증권 가중치
- R₄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₄ : CD 가중치
A2 : 「무배당2 + 무배당3 + 저축성」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10%
※ 연금보험 공시이율(1304)
- 기준이율 = A1×α + A2×(1- α)
A1 : 외부지표금리
= R₁×β₁ + R₂×β₂ + R₃×β₃ + R₄×β₄
- R₁ : 국고채(5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₁ : 국고채 가중치
- R₂ : 회사채(3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₂ : 회사채 가중치
- R₃ : 통안채(1년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₃ : 통안증권 가중치
- R₄ : CD(91일) 가중이동평균이율 - β₄ : CD 가중치
A2 : 「연금」계정 운용자산이익률(1년)
α = (A/B + C) / (A + C)
- A : 직전년도초 보험료적립금 - B : 직전년도말 자산듀레이션 - C : 수입보험료
- 공시이율 = 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10%
※ 보장성보험 공시이율(0910)
- 공시기준이율 = ( A1 + A2 + A3 + A4 ) × 25%
A1 : "무배당 특별계정”의 운용자산이익률
A2 : 국고채(3년만기) 수익률 직전 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A3 : 통화안정증권 수익률 직전 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A4 : CD 수익률 직전 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- 공시이율 = 공시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20%
* <통화안정증권> 2011년 05월 이전 : 통화안정증권(364일) 적용
2011년 06월 이후 : 통화안정증권(1년) 적용
※ 저축성보험 공시이율(0910)
- 공시기준이율 = A1 × 40% + ( A2 + A3 ) × 30%
A1 : "금리연동형 저축성보험의 특별계정”, “공시이율 상품의 특별계정”
및 “무배당 저축성보험 특별계정”의 운용자산이익률
A2 : 국고채(3년만기) 수익률 직전 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A3 : 회사채 수익률 직전 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- 공시이율 = 공시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20%
※ 연금보험 공시이율(0910)
- 공시기준이율 = A1 × 30% + ( A2 + A3 ) × 35%
A1 : "개인연금 특별계정”의 운용자산이익률
A2 : 국고채(5년만기) 수익률 직전 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A3 : 통화안정증권 수익률 직전 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- 공시이율 = 공시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가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20%
* <통화안정증권> 2011년 05월 이전 : 통화안정증권(364일) 적용
2011년 06월 이후 : 통화안정증권(1년) 적용
※ 공시이율
- 공시기준이율 = (운용자산이익률+지표금리수익률)/2
지표금리 수익율 : (A1+A2)/2
A1 : 국고채(3년만기)수익률의 직전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A2 : 회사채수익률의 직전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- 공시이율 = 공시기준이율 ± 조정이율
조정이율의 차감한도 : 공시기준이율의 20%
※ 파워플랜 공시이율
- 공시기준이율 = (A1+A2+A3)/3
A1 : 정기예금이율의 직전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A2 : 약관대출이율의 직전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A3 : 회사채수익률의 직전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
- 공시이율 = 공시기준이율 ± 조정이율
공시이율의 적용한도
- 1999.04.01 이전 계약 : 공시기준이율의 90% ~ 110%
- 1999.04.01 이후 계약 : 공시기준이율의 80% ~ 110%
※ 정기예금이율(개발원 산출)
- 수신고 기준 상위 5개 은행 전월 15일자 이율에 대한 산술평균
상품별 적용이율 변경내역
상품별 보험계약대출이율 변경내역
상품별 중도해지이율
※ 내용이 안보이시는 분은 아크로벳리더를 설치하신 후 보시기 바랍니다.